며칠 동안 내리던 비가 그치고 간만에 개인 날, 인근에 있는 봉녕사를 찾았습니다.
아름답고 청정한 절 수원 봉녕사는 고려 희종 4년(1208)에 원각 국사가 창건한 사찰로서
수원 광교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본사 용주사 말사입니다.
1971년 비구니 묘전 스님이 주지로 부임하고 묘엄 명사께서 주석하시면서
쇠퇴했던 봉녕사를 비구니 승가교육의 요람으로 중흥시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도심 속 도량이지만 비구니스님들의 절집이라 그런지 조용하면서도 아늑하고 상당히 깔금한 절집이더군요.
봉녕사는 사찰음식을 소개하는 사찰음식 교육관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화궁
우화궁은 세주당 묘엄 큰스님께서 법화경 가운데 석가모니불이 설법할 때 하늘에서 천녀들이 꽃비를 내린 것과 같이 이곳에서 공부하는 학인스님들이 경전을 독경할 때도 하늘이 감동하여 꽃비가 내리기를 염원하시는 뜻에서 우화궁이라 하였습니다. 우화궁 2층은 금강계단이 갖추어져 식차마나니계, 보살계, 팔관재계 등 수계식이 거행되는 곳이며 학인스님들의 수행 공간입니다.
향하당
향하란 부처님의 가르침이 향기와 같이, 노을과 같이 온 우주법계에 두루 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뜻하며 여러 대중들 및 신도들과 함께 방안가득, 도량 가득, 마음 가득 불법의 향기를 가꾸는 곳입니다. 1층은 종무소를 비롯하여 대중을 외호하는 삼직스님들의 수행 공간으로 사용되고, 2층은 주지실과 세주묘엄박물관 및 다실이 있습니다.
약사보전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은 약사유리광여래(藥師溜璃光如來) 또는 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고 합니다. 동방 정유리광 세계 불국토에 계시면서 12대 서원을 세워 중생의 질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재약사보전 난과 근심을 소멸하여 의복 음식을 만족하게 하고 부처의 행을 닦아 무상보리의 묘과를 증득하게 하겠다는 원력을 세우신 부처님입니다.
내부에는 1979년에 조성한 석조약사여래좌상을 본존으로 하고, 좌우측에 신중단, 현왕단, 칠성단, 독성단, 산신단, 영단이 함께 모셔져 있습니다. 약사여래좌상 뒤의 석가모니후불탱화, 신중탱화, 현왕탱화는 1878년에 조성되었으며, 신중탱화는 1891년 조성된 것입니다. 이중 신중탱화와 현황탱화는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52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용화각
1998년에 신축된 이 전각에는 석조삼존불(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이 모셔져
이 삼존불은 1995년 대적광전 위쪽 언덕에 있습니다. 전각을 지으려고 터를 닦던 중에 발견되었으며
고려 말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본존불은 석조여래좌상으로 연화문이 섬세하게 조각된 중대석과 상대석의 대좌에 모셔져 있고,
좌우에는 보살 입상이 협시불로 서있습니다.
비록 상호는 마모가 심해 알아보기 힘드나 다소 도식화되고 변화된 느낌의 소박한 고려 불상의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대적광전
봉녕사 대적광전은 화엄경에 등장하는 부처님인 비로자나 부처님을 주불로
좌우로 보신 노사나불, 화신 석가모니불을 모신 법당입니다.
비로자나불은 태양의 빛이 만물을 비추듯 우주의 삼라만상을 비추며 일체를 포괄하는 부처님입니다.
진리의 본체이자 침묵 속에서 찬란한 빛을 발하시는 법신불인비로자나불을 모신 법당을 대적광전이라 합니다.
법당 내외부 벽에는 80권 화엄경에 따라 칠처구회七處九會의 설법장면을 그린벽화가 그려져 있습니다.
상단의 후불탱화와 신중탱화는 목각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오시는길
고속도로로 오시는 경우
경부고속도로로 주행하다가 신갈 JC에서 영동고속도로로 변경한 후 동수원 IC로 나옵니다.
수원방향으로 우회전하고 경기지방경찰청 앞 고가차도 밑에서
좌회전 신호 시 SK LPG 충전주유소 골목길로 좌회전하여 500m 직진 후 봉녕사 주차장에 주차합니다.
수원역에서 오시는 경우
수원역 9번출구 매산시장 정류장에서 400,400-4,730번 또는 수원역 7번출구 수원역 AK플라자 정류장에서
7-2, 60, 660, 700-2번 노선버스를 타고 경기지방경찰청 봉녕사입구에서 하차하시면 됩니다.
서울방면 직행버스 안내
2호선 : 강남역 5,6번 출구 사이 나리빌딩앞 정류장에서 3007번 승차,
잠실역 6번 출구앞 정류장에서 1007,1007-1번 승차
3호선 : 양재역 9번 출구 커피빈앞 정류장에서 3007번 승차
2호선, 4호선 : 사당역 4번출구 정류장에서 7000, 7001번 승차
[수원여행]도심 속 역사산책 - 수원 광교역사공원 (0) | 2016.07.13 |
---|---|
길 위에서 만난 풍경, 빈 의자.... (0) | 2016.07.11 |
[수원여행]도심 속 공원, 만석공원에서 연꽃을 맞이하다 (0) | 2016.07.06 |
[수원여행]똥 박물관~~~~ 해학이 넘치는 해우재박물관 (0) | 2016.07.04 |
[안성여행]호랭이 담배피던 시절~~~ 안성 복거마을 (0) | 2016.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