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눈이의 세상보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길눈이의 세상보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길눈이
  • 분류 전체보기 (841)
    • 길, 떠남, 회상, 그리고... (712)
    • 사람들 (22)
    • 세상보기 (101)
    • 방명록 (0)

검색 레이어

길눈이의 세상보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길, 떠남, 회상, 그리고...

  • [서울여행]석유에서 문화로~~ 마포 문화비축기지

    2021.02.15 by 강물처럼~

  • [부여여행]눈 덮인 산사의 아름다움 - 부여 무량사

    2021.01.04 by 강물처럼~

  • [인제여행]얼렸다, 녹였다,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해야 만들어지는 황태

    2020.12.22 by 강물처럼~

  • [횡성여행]한국인 신부가 지은 강원도 최초의 성당을 찾아서 - 풍수원성당

    2020.12.15 by 강물처럼~

  • [양평여행]새벽, 어슴프레 밝아오는 두물머리의 황홀함

    2020.11.30 by 강물처럼~

  • [양평여행]겨울의 초입, 두물머리에서 맞이하는 아침

    2020.11.29 by 강물처럼~

  • [수원여행]화성 야행- 성곽의 야경에 흠뻑 취하다

    2020.11.18 by 강물처럼~

  • [수원여행]불빛에 비친 성곽의 환상적인 야경- 방화수류정

    2020.11.16 by 강물처럼~

[서울여행]석유에서 문화로~~ 마포 문화비축기지

“석유에서 문화로(Oil to Culture)” 마포구 서울월드컵경기장 인근 매봉산에 에워싸인 ‘문화비축기지’는 41년간 일반인의 접근과 이용이 철저히 통제됐던 산업화시대 유산인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도시재생을 통해 시민 품으로 돌아오게 된 문화공원입니다. 1973년 석유파동 이후 76~78년에 5개 탱크를 건설해 당시 서울시민이 한 달 정도 소비할 수 있는 양인 6,907만 리터의 석유를 보관했던 마포석유비축기지는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안전상의 이유로 폐쇄됐는데, 10년 넘게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다가 지난 2013년 시민아이디어공모를 통해 문화비축기지로의 변신을 결정했습니다. 당시 석유를 보관하던 탱크들은 석유 대신 매일 색다른 문화를 창출하는 문화탱크로 역할이 바뀌었습니다. 기존 5개의 탱크는 열..

길, 떠남, 회상, 그리고... 2021. 2. 15. 00:00

[부여여행]눈 덮인 산사의 아름다움 - 부여 무량사

새해 첫날, 부여 만수산 기슭의 무량사를 찾았습니다. 무량사는 극락전(보물 제356호)이 무척 아름다운 절집이죠. 마침 서해안에 내린 폭설로 눈에 파묻힌 절집의 모습이 더욱 아름답더군요. 무량사는 매월당 김시습이 말년을 보내다 입적한 곳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수양대군이 어린 조카 단종을 패하고 왕위에 오르자 무량사에서 은둔생활을 하다 승려가 되었으며 벼슬길에도 오르지 않았다고 합니다. 일설에는 그가 사육신의 시신을 몰래 수습하여 노량진에 묻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길, 떠남, 회상, 그리고... 2021. 1. 4. 09:29

[인제여행]얼렸다, 녹였다,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해야 만들어지는 황태

해마다 겨울이면 강원도 인제 용대리 계곡은 황태 말리는 향으로 그득해진다. 황태는 얼핏 북어와 비슷하지만 북어가 명태를 그냥 건조시켰다면 황태는 생태를 겨울에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널어서 겨울바람과 날씨를 이용해 얼렸다 녹였다를 겨울 내내 반복하여 말리는 것이 특징이다. 황태의 유래는 정확한 연도는 기록되지 않고 있으나, 아주 오래전부터 북한 지역인 함경도에서 만들었다고 한다. 한국전쟁 이후 함경도 피난민들이 이곳에 자리 잡으면서 함경도지방과 날씨가 흡사한 진부령과 대관령일대에서 황태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추운 겨울에만 만들어지는 황태. 요즘 인제 용대리는 천지가 황태다.

길, 떠남, 회상, 그리고... 2020. 12. 22. 00:00

[횡성여행]한국인 신부가 지은 강원도 최초의 성당을 찾아서 - 풍수원성당

강원도 횡성의 풍수원 성당은 1888년 6월 20일 강원도 최초의 본당으로 설립되었습니다. 강원도 지역에 천주교가 전래된 것은 신유박해가 일어나던 1801년경으로 박해를 피해 서울과 경기도 용인 등지에 살던 신자들이 강원도나 충청도의 산간 지역으로 숨어들면서부터입니다. 풍수원 성당은 한국인 정규하 신부가 중국인 기술자들과 함께 완공한 건물입니다. 당시 서양식 건축에 대한 지식이 없었던터라 명동성당을 건축했던 중국인 기술자들이 이곳에서 직접 가마터에서 벽돌을 구워가며 완공한 성당이라고 합니다. 강원도 최초의 서양식 건물이자 한국인 신부가 지은 첫 번째 성당인 풍수원 성당은 1982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었고, 성당보다 5년 늦은 1912년 건축에 들어간 구 사제관은 원형이 잘 보존된 벽돌조 ..

길, 떠남, 회상, 그리고... 2020. 12. 15. 10:16

[양평여행]새벽, 어슴프레 밝아오는 두물머리의 황홀함

새벽, 양평의 두물머리를 찾았습니다. 물안개를 보려고 일기예보도 확인하고 준비해서 갔는데, 아쉽게도 물안개가 피어나는 모습은 보질 못했네요ㅠㅠ 그래도 어슴프레 밝아오는 새벽의 두물머리는 정말 환상적이었습니다. 새벽 / 천상병 새벽에 깨는 나 어슴푸레는 오늘의 희망! 기다리다가 다섯 시에 산으로 간다 여기는 상계1동 산에 가면 계곡이 있고 나는 물 속에 잠긴다. 물은 아침엔 차다 그대고 마다 않고 온몸을 적신다. 새벽은 차고 으스스 하지만 동쪽에서의 훤한 하늘 빛 오늘은 시작되다.

길, 떠남, 회상, 그리고... 2020. 11. 30. 00:00

[양평여행]겨울의 초입, 두물머리에서 맞이하는 아침

겨울 사랑 / 박노해 사랑하는 사람아 우리에게 겨울이 없다면 무엇으로 따뜻한 포옹이 가능하겠는냐 무엇으로 우리 서로 깊어질 수 있겠느냐 이 추운 떨림이 없다면 꽃은 무엇으로 피어나고 무슨 기운으로 향기를 낼 수 있겠느냐 나 언 눈 뜨고 그대들 기다릴 수 있겠느냐 눈보라 치는 겨울밤이 없다면 추워 떠는 자의 시린 마음을 무엇으로 헤아리고 내 온몸을 녹이는 몇 평의 따뜻한 방을 고마워하고 자기를 벗어버린 희망 하나 커 나올 수 있겠느냐 아아 겨울이 온다 추운 겨울이 온다 떨리는 겨울 사랑이 온다

길, 떠남, 회상, 그리고... 2020. 11. 29. 11:39

[수원여행]화성 야행- 성곽의 야경에 흠뻑 취하다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사적 제3호)은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쟁에 의한 당파 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 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남쪽의 국방 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정조 18년(1794년)에 축성공사를 시작, 2년 뒤인 1796년에 완공했으며 정약용이 성을 설계하였습니다. 수원화성은 거중기, 활차, 녹로 등 신기재의 발명과 활용, 동서양 축성술을 집약한 축성방법 등 18세기 과학과 건축, 예술을 살필 수 있는 대한민국 성곽 건축사상 가장 독보적인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수원화성」은 방어 기능과 성벽안에 갖추어진 4개의 성문을 비롯해 각기 다른 모양과 특성을 지닌 건축물의 가치를 인정받아 1997년에..

길, 떠남, 회상, 그리고... 2020. 11. 18. 11:38

[수원여행]불빛에 비친 성곽의 환상적인 야경- 방화수류정

수원 화성의 방화수류정 연못을 끼고 있어 무척 아름다운 곳입니다. 특히 야간 조명불빛에 비치는 방화수류정의 모습인 환상적입니다. 방화수류정은 1794년(정조 18) 10월 19일 완공되었습니다. 주변을 감시하고 군사를 지휘하는 지휘소와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정자의 기능을 함께 지니고 있습니다. 동북각루라고도 불립니다. “꽃을 찾고 버들을 따라 노닌다(訪花隨柳)”라는 뜻을 지닌 방화수류정은 독특한 평면과 지붕형태 때문에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방화수류정은 화성에서 가장 뛰어나며 다른 성곽에서는 볼 수 없는 독창적인 건축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2011년 보물 제170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길, 떠남, 회상, 그리고... 2020. 11. 16. 10:2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 4 5 6 7 8 9 ··· 89
다음
TISTORY
길눈이의 세상보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